짙은 녹색 암막 커튼 사이를 비집고 햇볕이 새어 들어왔다. 아홉 시가 되어가고 있었다. 이불을 갠 뒤 옷을 갈아입고 베란다로 나가 창문을 열었다. 4월치고는 제법 매서운 찬바람이 불어왔다. 상자 텃밭에 있는 상추와 고추가 추울까 걱정되었다. 이윽고 싱그럽게 반짝이는 초록빛을 보았다. 꼭 웃고 있는 것 같아 마음이 놓였다.

 텃밭 흙을 만져보았다. 비가 오고 난 뒤로 물을 주지 않았는데도 아직 촉촉했다. 부드러운 흙을 만지작거리고 있으니 변산이 떠올랐다. 날마다 흙을 만지며 사계절을 몸으로 느끼던 곳이었다. 전라북도 부안에 있는 변산은 서울에서 오가기엔 꽤 먼 곳이었다. 서울에 있는 친구들은 일 년에 한 번 볼까 말까였고, 집에 인터넷도 없던 터라 연락도 자주 못했다.

 친구들이 보고 싶을 때면 편지를 보내곤 했다. 그 당시 편지에 자주 쓰던 멘트가 있었다. 주련이에게 편지를 쓰던 이 년 전에도 여느 때처럼 마지막에 이렇게 썼다. '회색빛이던 내가 알록달록한 네 덕분에 밝고 환하게 웃는다. 밋밋한 나랑 친구해줘서 고마워.' 말주변이 없고 무뚝뚝한 나에 비해 다정하게 재치 있는 주련이가 부러웠던 참이었다.

 편지를 보내고 난 일주일 뒤 주련이에게서 답장이 왔다. 시간이 흐른 지금, 뭐라고 적혀 있었는지 대부분 까먹었지만 아직도 기억에 남는 내용이 있다. '유쟝은 회색빛이 아니라 나무 빛이야. 굵고 단단한 나무 기둥 같은! 그건 나무뿌리인가? ㅋㅋ' 역시 재미와 감동을 동시에 챙길 줄 아는 친구였다.

 주련이가 보는 나는 회색보다 고동색에 더 가까웠나보다. 듣고 보니 고동색도 꽤나 무뚝뚝한 면이 있었다. 회색보다는 좀 더 우직한 느낌이었다. 나름대로 고집 있고, 뚝심 있는 나와 잘 어울리는 것 같았다. 그 날 이후로 나무를 볼 때마다 반갑다. 특히 나무줄기를 보면서 주련이가 해준 말을 떠올린다.

 스스로를 사랑해주기 어려울 때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해주는 사랑을 받는 것도 큰 힘이 된다. 여전히 자기 색깔로 선명하게 반짝이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부럽기는 하지만 예전처럼 초라해지지는 않는다. 촉촉한 흙빛, 건강한 똥빛, 오래된 구리와 같은 고동(古銅)빛을 닮은 내가 마음에 든다.

 

촉촉한 텃밭 흙

  

'일상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걱정인형  (0) 2020.05.03
벌들의 떼죽음  (0) 2020.03.27
개운한 아침  (0) 2020.02.11
L과 B에게,  (0) 2020.01.31
촌스럽게 흐뭇하기  (0) 2019.01.16

3월부터 베란다에 벌이 한 마리씩 나왔다. 어제는 네 마리, 오늘은 수십 마리, 

경아가 스프레이를 뿌려서 벌들이 몸부림 쳤다.

119에 신고해서 소방대원이 왔고 수십 마리는 전멸했다.

한 마리 한 마리 세면서 종이에 담았다.

백다섯 마리였다.

변산에서 봤던 닭들의 떼죽음, 세월호 사건, 코로나19 때문에 죽어가는 사람들까지 다 연결되었다.

너무 힘들다.

나의비거니즘이야기 작가님 만화를 보면서 마음을 다졌다. 죄의식 갖지 않기.

죽이면 안 된다가 아니라, 죽이고 싶지 않았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조금 더 비건에 가까워지는 계기가 될 것 같다.

 

 

'일상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걱정인형  (0) 2020.05.03
고동색  (0) 2020.04.24
개운한 아침  (0) 2020.02.11
L과 B에게,  (0) 2020.01.31
촌스럽게 흐뭇하기  (0) 2019.01.16

*24절기마다 한 편씩 연재하는 절기살이 글입니다.

낮에는 따뜻한 봄햇살 만끽하다가 밤이 되면 찬바람에 옷깃을 여민다. 3월 20일, 네 번째 봄절기 춘분이다.

춘분점(春分點)은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을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이다. 태양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어 동쪽에는 양(陽)이, 서쪽에는 음(陰)이 있으므로 춘분이라 한다.

춘분날에는 밤낮의 길이가 똑같지만 이날을 기점으로 낮 시간이 밤 시간보다 서서히 길어진다. 추운 날이 가고 따뜻한 날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입춘에 봄을 생각하고, 우수에 마음을 녹이며, 경칩에 개구리처럼 튀어나갈 준비를 마쳤는데, 난데없이 영하로 기온이 떨어지는 꽃샘추위가 온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19가 감염병 위험 수준이 6단계, 즉 세계적 대유행이라는 '펜데믹' 선언을 했다. 전 세계가 꽁꽁 얼어붙었다. 꽃샘추위는 새로운 봄을 맞기 위한 통과의례다. 한 해를 무사히 보내려면 꽃샘추위라는 시험을 잘 치러야 한다. 21세기가 되고 스무 해가 흘렀다. 남은 21세기를 무사히 보내려면 지난날을 진지하게 살피고, 이 위기를 잘 극복해야 할 것 같다.  

 

 

 

 

-꽃샘추위-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사람들이
봄꽃 시샘하여 심술부린다고 하지만
엄하고 무뚝뚝하지만 속정 깊은 아비 같지요

좋은 시절 왔다고 들떠 나대지 말고
좋은 시절이라고 어려운 시절 잊지 말고
힘든 시절 살듯이 늘 조심조심 살라는 말이지요 
(131쪽)

 

│ 삶을 진지하게 살고 있는가?

 꽃샘추위는 조금 따뜻해졌다고, 봄이 왔다고 들떠서 함부로 행동하지 말라는 하늘의 경고다. 함부로 뱉은 말로 다른 이에게 상처를 주고, 경솔한 행동으로 일을 그르친 적이 몇 번 있긴 하지만, 오히려 지나치게 진지할 때가 많다. 묵직한 성격 탓에 가라앉을까봐 겁이 나서 가벼운 사람이 되고자 애썼다. 주변에 알록달록한 색깔로 반짝이는 사람들을 보면서 나는 회색빛이라고 생각했다. 친구가 말했다. '너는 짙은 초록빛, 단단한 기둥 갈색빛을 띠는 나무야.' 덕분에 진지한 내 모습 그대로 살아갈 용기를 얻었다.

 

현대 인간들 대다수는 도시에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자연과 떨어져 살 수밖에 없어 자연을 느끼고 알 수 있는 기회가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더욱 편하고 안락한 삶을 추구하는 인간의 과학기술 문명에 의해 야생성, 생명감수성이 사라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라디오로 비유하자면 수신 안테나가 고장 나서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것이고 곤충으로 말하면 더듬이가 사라진 것이다.
(130쪽)

 

│ 내 생명은 길들여진 것인가, 야성의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가?

무선인터넷에 길들여졌다는 생각을 한다. 시간을 허비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유튜브나 SNS 어플을 지웠다가도 금새 다시 설치하고야 만다. 변산에서는 버스 정류장에 나가느라 삼십 분 걷는 것쯤 아무것도 아니었지만, 서울에서는 지하철역까지 십 분도 걷기 싫어서 버스를 탄다. 눈이 뻑뻑하고, 근육이 없어지는 게 느껴진다. 인터넷을 쓰지 않을 때는 공유기 플러그를 뽑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서 야성의 건강한 생명력을 지니기 위해 애써봐야 겠다.

 

 

*이 글은 작은것이아름답다에서 펴낸 <때를 알다 해를 살다>를 읽고 쓴 글입니다.

'일상 > 절기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오름달-경칩] 어서 깨어나 이제 봄이야  (0) 2020.03.05

+ Recent posts